
요약 정보
청심대유青心大冇는 청심오룡과 함께 대만차에서 빼놓고 이야기 할 수 없는 중요한 품종입니다. 조기부터 현재까지 긴 시간 재배하였으며, 일치시기에는 [조기 대만 4대 명종]중 일각을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차의 품질이 좋은 것은 물론이고, 개량에도 적절하여 품종 개량에도 폭넓게 쓰여왔습니다. 기본적으로 동방미인이나 홍차같은 산화도 높은 차에 적제성이 있습니다.
청심대유를 이야기 할 때에 빼놓고 이야기 할 수 없는 차는 단연코[동방미인]입니다. 동방미인이라는 장르 내에서 청심대유의 입지는 독보적입니다. 청심대유로 만든 동방미인은 동방미인 중 으뜸으로 치며, 비새에서도 이등장 이상의 상위권은 대다수 청심대유로 만들었습니다.
향이 풍부하면서도 과하지 않고, 탕은 가볍거나 무겁지 않아 호불호가 적습니다. 소록엽선이 작용하였을 때 생성되는 밀향은 타 품종에서도 발현이 되지만, 여러 밀향 중에서 청심대유에서의 밀향을 가장 높게 칩니다. 소록엽선의 선호도 또한 높은 편입니다.
동방미인을 생산하는 산지에서는 대부분 청심대유를 기릅니다. 대표 산지는 도죽묘 桃竹苗 산지로 불리는 타오위엔桃園, 신죽新竹, 묘율苗栗 등이 있으며, 그 외에서도 일부 지역에서 소량 재배하고 있습니다. 청심대유로 생산하는 대표적인 차로는 [동방미인], [홍차] 등이 있습니다.

명칭과 별명
명칭: 青心大冇 Chin Shin Damo (QīngXīnDàMǎo)
국내: 청심대유
별명: 칭신, 따모, 따팡
주1. 청심대유? 청심대무?
국내에서 청심대유는 종종 청심대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청심대유의 마지막 자인 유冇의 음은 [유]와 [묘]두 가지로, [청심대유] 혹은 [청심대묘]표기 모두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청심대유라는 이름을 더 많이 쓰는 편입니다. 청심대묘도 아닌 [청심대무]라는 이름이 쓰이는 데에는 중국어와 대만어 발음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청심대유의 중국어 발음은 [칭신따모]이며, 대만어 발음은 [칭신따팡]입니다. 흔히 약어인 따모, 따팡, 칭신 등으로 불립니다. 다만, 대만에서는 칭신[따모]로 발음하기에, 대만의 발음에 기반한다면 [무]라는 발음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주2. 따팡?
대만의 차 산지에서는 대부분 국어와 [대만어]를 함께 사용합니다. 금훤이 니찌라로 불리듯, 청심대유는 따팡으로 불렀을 때 더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곤합니다.
주3. 청심대유와 4대 명종
청심대유는 일치시기 이전부터 쓰이던 품종이었습니다. 일치시기에 일본이 대만의 차 산업을 근대화하기 시작하며 대만 내 품종을 조사, 분석하였고, 그 중 형질이 뛰어난 네 가지 품종을 4대 명종으로 선발합니다.
이 네 가지는 [청심오룡], [청심대유], [경지홍심], [대엽오룡]이었습니다. 이후 청심대유는 녹차, 홍차, 우롱차, 동방미인(당시에는 동방미인이 등급의 이름이었습니다. 이후 글을 따로 제작할 예정)등으로 만들어졌으며, 품종 개량에도 쓰이게 됩니다.
수형과 특징
수형: 관목
잎의 크기에 따른 분류: 소엽종
차나무의 특징: 병충해에 약함. 생산량이 적음. 가뭄 내성 약함. 내한성 강함. 지역차 큼.
싹과 잎의 특징: 솜털의 밀도는 높지만, 빠르게 탈락되며, 갓 나온 싹이 자색인 경우가 있음.
주간이 뚜렷하지 않은 관목 형태의 차나무로, 잎의 크기가 작은 소엽종 차나무잎니다.
내한성은 강하지만, 내건성이 떨어지고 병충해에 약한 특징이 있습니다. 높은 내한성으로 하여금 일교차가 크고, 평균기온이 낮은 고산지대에도 기를 수 있으며,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적은 편입니다.

맹아시기
청심대유은 中生種중생종입니다. 사계춘보다는 늦고, 청심오룡보다는 이른 시기에 채엽 가능합니다. 다만, 청심대유로는 동방미인을 많이 만드는 만큼 일반적인 채엽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동방미인을 만들 경우 개면엽이 아닌 어린 싹과 잎을 채엽하며, 소록엽선의 작용 또한 채엽 시기에 큰 영향을 줍니다. 동일하게 동방미인을 만들 경우, 금훤과 백로보다 늦게 채엽합니다.
생산 지역
청심대유는 북부산지 위주로 식재되어있습니다. 동방미인의 주요 품종인 만큼, 주요 산지인 타오위엔桃園, 신죽新竹, 묘율苗栗 등의 지역에 주로 식재되어있습니다. 이 세 지역을 묶어 도죽묘 桃竹苗차구라고 부르며, 동방미인의 주요 산지로 부릅니다. 그 외에도 동부나 중부 일부 지역에서 기르는 경우가 있지만 그 면적이 넓지는 않습니다.
청심대유는 주로 동방미인과 소엽종 홍차를 제다하는 데에 쓰이며, 드물게 녹차와 백차, 청향/숙향형의 오룡차를 만들기도 합니다.

요약 정보
청심대유青心大冇는 청심오룡과 함께 대만차에서 빼놓고 이야기 할 수 없는 중요한 품종입니다. 조기부터 현재까지 긴 시간 재배하였으며, 일치시기에는 [조기 대만 4대 명종]중 일각을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차의 품질이 좋은 것은 물론이고, 개량에도 적절하여 품종 개량에도 폭넓게 쓰여왔습니다. 기본적으로 동방미인이나 홍차같은 산화도 높은 차에 적제성이 있습니다.
청심대유를 이야기 할 때에 빼놓고 이야기 할 수 없는 차는 단연코[동방미인]입니다. 동방미인이라는 장르 내에서 청심대유의 입지는 독보적입니다. 청심대유로 만든 동방미인은 동방미인 중 으뜸으로 치며, 비새에서도 이등장 이상의 상위권은 대다수 청심대유로 만들었습니다.
향이 풍부하면서도 과하지 않고, 탕은 가볍거나 무겁지 않아 호불호가 적습니다. 소록엽선이 작용하였을 때 생성되는 밀향은 타 품종에서도 발현이 되지만, 여러 밀향 중에서 청심대유에서의 밀향을 가장 높게 칩니다. 소록엽선의 선호도 또한 높은 편입니다.
동방미인을 생산하는 산지에서는 대부분 청심대유를 기릅니다. 대표 산지는 도죽묘 桃竹苗 산지로 불리는 타오위엔桃園, 신죽新竹, 묘율苗栗 등이 있으며, 그 외에서도 일부 지역에서 소량 재배하고 있습니다. 청심대유로 생산하는 대표적인 차로는 [동방미인], [홍차] 등이 있습니다.
명칭과 별명
명칭: 青心大冇 Chin Shin Damo (QīngXīnDàMǎo)
국내: 청심대유
별명: 칭신, 따모, 따팡
주1. 청심대유? 청심대무?
국내에서 청심대유는 종종 청심대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청심대유의 마지막 자인 유冇의 음은 [유]와 [묘]두 가지로, [청심대유] 혹은 [청심대묘]표기 모두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청심대유라는 이름을 더 많이 쓰는 편입니다. 청심대묘도 아닌 [청심대무]라는 이름이 쓰이는 데에는 중국어와 대만어 발음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청심대유의 중국어 발음은 [칭신따모]이며, 대만어 발음은 [칭신따팡]입니다. 흔히 약어인 따모, 따팡, 칭신 등으로 불립니다. 다만, 대만에서는 칭신[따모]로 발음하기에, 대만의 발음에 기반한다면 [무]라는 발음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주2. 따팡?
대만의 차 산지에서는 대부분 국어와 [대만어]를 함께 사용합니다. 금훤이 니찌라로 불리듯, 청심대유는 따팡으로 불렀을 때 더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곤합니다.
주3. 청심대유와 4대 명종
청심대유는 일치시기 이전부터 쓰이던 품종이었습니다. 일치시기에 일본이 대만의 차 산업을 근대화하기 시작하며 대만 내 품종을 조사, 분석하였고, 그 중 형질이 뛰어난 네 가지 품종을 4대 명종으로 선발합니다.
이 네 가지는 [청심오룡], [청심대유], [경지홍심], [대엽오룡]이었습니다. 이후 청심대유는 녹차, 홍차, 우롱차, 동방미인(당시에는 동방미인이 등급의 이름이었습니다. 이후 글을 따로 제작할 예정)등으로 만들어졌으며, 품종 개량에도 쓰이게 됩니다.
수형과 특징
수형: 관목
잎의 크기에 따른 분류: 소엽종
차나무의 특징: 병충해에 약함. 생산량이 적음. 가뭄 내성 약함. 내한성 강함. 지역차 큼.
싹과 잎의 특징: 솜털의 밀도는 높지만, 빠르게 탈락되며, 갓 나온 싹이 자색인 경우가 있음.
주간이 뚜렷하지 않은 관목 형태의 차나무로, 잎의 크기가 작은 소엽종 차나무잎니다.
내한성은 강하지만, 내건성이 떨어지고 병충해에 약한 특징이 있습니다. 높은 내한성으로 하여금 일교차가 크고, 평균기온이 낮은 고산지대에도 기를 수 있으며,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적은 편입니다.
맹아시기
청심대유은 中生種중생종입니다. 사계춘보다는 늦고, 청심오룡보다는 이른 시기에 채엽 가능합니다. 다만, 청심대유로는 동방미인을 많이 만드는 만큼 일반적인 채엽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동방미인을 만들 경우 개면엽이 아닌 어린 싹과 잎을 채엽하며, 소록엽선의 작용 또한 채엽 시기에 큰 영향을 줍니다. 동일하게 동방미인을 만들 경우, 금훤과 백로보다 늦게 채엽합니다.
생산 지역
청심대유는 북부산지 위주로 식재되어있습니다. 동방미인의 주요 품종인 만큼, 주요 산지인 타오위엔桃園, 신죽新竹, 묘율苗栗 등의 지역에 주로 식재되어있습니다. 이 세 지역을 묶어 도죽묘 桃竹苗차구라고 부르며, 동방미인의 주요 산지로 부릅니다. 그 외에도 동부나 중부 일부 지역에서 기르는 경우가 있지만 그 면적이 넓지는 않습니다.
청심대유는 주로 동방미인과 소엽종 홍차를 제다하는 데에 쓰이며, 드물게 녹차와 백차, 청향/숙향형의 오룡차를 만들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