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정보
취옥은 금훤과 함께 개량 품종의 대표격인 품종입니다. 금훤과 동일한 시기에 발표되었으며, 강렬하고 선명한 꽃향이 포인트인 품종입니다. 다양한 차류에 적제성이 있지만, 주로 꽃향을 살려 문산포종과 평지의 청향/화향 청차를 만드는데에 주로 쓰입니다.
주로 쓰이는 것과 별개로, 취옥은 높은 산화도와 일정 수준 이상의 배화도에서 좋은 부분을 보여주곤 하는 품종입니다. 풋내나 과한 꽃향은 잡고, 타 품종에서는 끌어내기 어려운 다채로운 과일향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품종입니다.
취옥은 문산포종을 많이 만드는 신베이의 평림 일대와 중부 0~800m 해발 다원에서 주로 기릅니다. 가격은 금훤과 비슷한 정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쟈스민, 플루메리아, 빈랑꽃, 치자 계열의 꽃향이 선명하다 보니 선호하지 않는 분과 마니아가 갈리는 품종이기도 합니다.
명칭과 별명
학명: 臺茶13號 TTES No.13 CUI YU
국내: 대차13호
별명: 취옥 (翠玉), 시험번호2029(試驗代號2029), 품계2029(2029品系), 29仔, 29
주1. 대차 13호가 맞나요? 취옥이 맞나요?
(구)차업개량장에서 개량한 대차 시리즈는 대차00호가 정식 명칭입니다.
별명은 이후 차업개량장에서 부여하거나, 공모전 등을 통해 명명됩니다.
주2. 취옥을 2029라고 부르기도 하던데요!
대차13호(이후 취옥)는 개발 완료 후 2029, 29仔(대만어 ‘니까라’(이후 주음으로 표기))이라는 이름으로 대만 중부의 차농과 업계인들에게 널리 퍼졌습니다. 이 때문에 중부에서는 지금도 취옥을 부를 때에 니라는 대만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내원
내원: 개량종(대만행정원농업위원회차업개량장에서 개량한 개량종)
발표 시기: 1981년
명명 시기: 1982년
부계: 硬枝紅心경지홍심
모계: 台農80號대농80호
취옥의 부계는 대만 조기 4대명종인 경지홍심이고, 모계는 농업시험소의 개량종인 대농80호입니다. 1945년 당시 차업개량장(당시 명칭은 농업시험소)의 창장이었던 吳振鐸우(오)진탁 전창장님이 개발을 시작하였습니다. 우량한 품종을 위해 초기 5000종의 묘목으로 시작한 개발은 여러 실험과 개량을 통해 1955년에 230종,1964년에 103종, 1973년에는 12종까지 줄어 들게 됩니다. 금훤이 발표된 1981년 시점에는 당시 시험번호 2027과 2029가 최종적으로 선발되었으며, 이 둘은 각각 대차12호(금훤)과 대차13호(취옥)으로 명명 되었습니다.
주3: 2027(금훤)과 2029(취옥) 사이의 2028
2027(금훤)과 2029(취옥) 사이의 번호인 2028은 2029와 같은 내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부 차농들은 본인들이 2028을 키우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차업개량장에서 2028을 외부로 유출한 적은 없으며, 현재는 차업개량장 내부에서 우량 품종으로 관리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주4: 금훤과 취옥
취옥은 금훤과 배 다른 형제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밀접한 혈연 관계와 역사를 지니고 있으나, 두 품종의 쓰임과 특징은 크게 다릅니다.
금훤이 폭 넓은 적제성과 대중성으로 현대 대만차 품종의 높은 지분을 가져갔다면 취옥은 독특한 품종향을 바탕으로 철관음이나 문산포종처럼 향이 중요 일부 장르에서 특별히 쓰인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수형과 특징
수형: 관목
잎의 크기에 따른 분류: 소엽종
차나무의 특징: 병충해에 강한 편. 생산량이 많음
싹과 잎의 특징: 솜털이 빽빽하고, 길게 유지 되는 편
취옥은 관목 차나무로, 잎의 크기가 작은 소엽종 차나무잎니다. 싹이 자색이며, 솜털이 많지 않습니다.
수확량이 금훤보다 적고, 품종향에 호불호가 있어 식재 면적이 넓지 않아 좋은 취옥을 구하는 것은 다소 난이도가 있는 편입니다.

맹아시기
취옥은 中生種중생종입니다. 같은 중생종에 들어가는 금훤과 비슷하거나 조금 늦은 시기에 싹을 틔우며 생산량은 금훤보다는 조금 적습니다.
생산 지역
취옥은 생산 지역이 다소 제한되는 편입니다. 북부에서는 평림과 이란 등지에서 식재하며, 주로 청향형의 반구형 오룡차와 문산포종을 만드는데 사용합니다. 중남부의 평지와 1,000m 이하의 저고산 지대에서도 종종 식재합니다. 고산에서 취옥을 식재하는 경우는 극히 제한된다고 보아도 무관할 정도입니다.
취옥이 가장 많이 생산되는 것은 대만 중부 남투현의 송백령입니다. 송백령에서는 금훤, 취옥, 사계춘 이 세 가지 품종을 대량 식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지역에서 생산하는 차는 품질에 따른 가격 차이가 있을 뿐, 품종 간에는 가격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소비자의 기호와 취향에 따라 가져가는 차가 달라진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요약 정보
취옥은 금훤과 함께 개량 품종의 대표격인 품종입니다. 금훤과 동일한 시기에 발표되었으며, 강렬하고 선명한 꽃향이 포인트인 품종입니다. 다양한 차류에 적제성이 있지만, 주로 꽃향을 살려 문산포종과 평지의 청향/화향 청차를 만드는데에 주로 쓰입니다.
주로 쓰이는 것과 별개로, 취옥은 높은 산화도와 일정 수준 이상의 배화도에서 좋은 부분을 보여주곤 하는 품종입니다. 풋내나 과한 꽃향은 잡고, 타 품종에서는 끌어내기 어려운 다채로운 과일향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품종입니다.
취옥은 문산포종을 많이 만드는 신베이의 평림 일대와 중부 0~800m 해발 다원에서 주로 기릅니다. 가격은 금훤과 비슷한 정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쟈스민, 플루메리아, 빈랑꽃, 치자 계열의 꽃향이 선명하다 보니 선호하지 않는 분과 마니아가 갈리는 품종이기도 합니다.
명칭과 별명
학명: 臺茶13號 TTES No.13 CUI YU
국내: 대차13호
별명: 취옥 (翠玉), 시험번호2029(試驗代號2029), 품계2029(2029品系), 29仔, 29
주1. 대차 13호가 맞나요? 취옥이 맞나요?
(구)차업개량장에서 개량한 대차 시리즈는 대차00호가 정식 명칭입니다.
별명은 이후 차업개량장에서 부여하거나, 공모전 등을 통해 명명됩니다.
주2. 취옥을 2029라고 부르기도 하던데요!
대차13호(이후 취옥)는 개발 완료 후 2029, 29仔(대만어 ‘니까라’(이후 주음으로 표기))이라는 이름으로 대만 중부의 차농과 업계인들에게 널리 퍼졌습니다. 이 때문에 중부에서는 지금도 취옥을 부를 때에 니라는 대만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내원
내원: 개량종(대만행정원농업위원회차업개량장에서 개량한 개량종)
발표 시기: 1981년
명명 시기: 1982년
부계: 硬枝紅心경지홍심
모계: 台農80號대농80호
취옥의 부계는 대만 조기 4대명종인 경지홍심이고, 모계는 농업시험소의 개량종인 대농80호입니다. 1945년 당시 차업개량장(당시 명칭은 농업시험소)의 창장이었던 吳振鐸우(오)진탁 전창장님이 개발을 시작하였습니다. 우량한 품종을 위해 초기 5000종의 묘목으로 시작한 개발은 여러 실험과 개량을 통해 1955년에 230종,1964년에 103종, 1973년에는 12종까지 줄어 들게 됩니다. 금훤이 발표된 1981년 시점에는 당시 시험번호 2027과 2029가 최종적으로 선발되었으며, 이 둘은 각각 대차12호(금훤)과 대차13호(취옥)으로 명명 되었습니다.
주3: 2027(금훤)과 2029(취옥) 사이의 2028
2027(금훤)과 2029(취옥) 사이의 번호인 2028은 2029와 같은 내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부 차농들은 본인들이 2028을 키우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차업개량장에서 2028을 외부로 유출한 적은 없으며, 현재는 차업개량장 내부에서 우량 품종으로 관리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주4: 금훤과 취옥
취옥은 금훤과 배 다른 형제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밀접한 혈연 관계와 역사를 지니고 있으나, 두 품종의 쓰임과 특징은 크게 다릅니다.
금훤이 폭 넓은 적제성과 대중성으로 현대 대만차 품종의 높은 지분을 가져갔다면 취옥은 독특한 품종향을 바탕으로 철관음이나 문산포종처럼 향이 중요 일부 장르에서 특별히 쓰인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수형과 특징
수형: 관목
잎의 크기에 따른 분류: 소엽종
차나무의 특징: 병충해에 강한 편. 생산량이 많음
싹과 잎의 특징: 솜털이 빽빽하고, 길게 유지 되는 편
취옥은 관목 차나무로, 잎의 크기가 작은 소엽종 차나무잎니다. 싹이 자색이며, 솜털이 많지 않습니다.
수확량이 금훤보다 적고, 품종향에 호불호가 있어 식재 면적이 넓지 않아 좋은 취옥을 구하는 것은 다소 난이도가 있는 편입니다.
맹아시기
취옥은 中生種중생종입니다. 같은 중생종에 들어가는 금훤과 비슷하거나 조금 늦은 시기에 싹을 틔우며 생산량은 금훤보다는 조금 적습니다.
생산 지역
취옥은 생산 지역이 다소 제한되는 편입니다. 북부에서는 평림과 이란 등지에서 식재하며, 주로 청향형의 반구형 오룡차와 문산포종을 만드는데 사용합니다. 중남부의 평지와 1,000m 이하의 저고산 지대에서도 종종 식재합니다. 고산에서 취옥을 식재하는 경우는 극히 제한된다고 보아도 무관할 정도입니다.
취옥이 가장 많이 생산되는 것은 대만 중부 남투현의 송백령입니다. 송백령에서는 금훤, 취옥, 사계춘 이 세 가지 품종을 대량 식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지역에서 생산하는 차는 품질에 따른 가격 차이가 있을 뿐, 품종 간에는 가격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소비자의 기호와 취향에 따라 가져가는 차가 달라진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